Rafting(래프팅)

2022. 1. 4. 14:27CRITIQUE

 

Rafting  

오상일(홍익대학교 교수)

화강암이 형성되는 데에는 중생대의 쥬라기와 백악기 사이에서 시작된, 대략 2억년의 지질학적 시간이 필요했다. 거대한 공룡이 지구를 지배하던 시대에 땅 속에서는 어마어마한 지각 변동이 일어났고, 이때 압력에 의해 지표 가까이 밀려나온 마그마가 서서히 식으면서 돌이 되었다. 돌은 그 자체가 인류의 역사를 뛰어넘는 지구의 역사이며 장구한 세월을 압축하고 있는 가시적 실체다. 그래서인지 돌은 인간의 희로애락이나 잡다한 사건들에 대해 정말 돌처럼 무덤덤하다. 2억년의 시간의 차원에서 볼 때, 나아가 우주의 시각에서 볼 때, 인간의 그 모든 사연들은 찰나의 몸부림에 불과할 것이요, 그들의 삶의 질량 또한 한낱 미물의 삶보다 더 무거울 것도 없을 것이다.

그런데도 말없는 그 돌이 말을 걸어온다. 이러한 돌들 중에서도 가장 단단한 화강암은 특히 한반도에 많이 분포되어 있어 예로부터 우리는 화강암과 친숙했고 자연히 우리만의 독특한 석조문화를 가지게 되는 배경이 되었다. 석굴암에서부터 김칫돌에 이르기까지… 우리의 석조문화가 갖는 가장 큰 특징이라면 그것은 바로 이러한 친근함에서 비롯된 자연스러움, 재료에 대한 존중이리라. 우리 산천과 생활주변 도처에 흩어져 있는 이들 석조품들을 볼 때마다 느끼는 것이 조형의 질박성인데, 이러한 특성은 바로 재료 그 자체의 아름다움과 자연스러움을 살려, 인공적 기교와 조형적 의지를 최소화한다는 것이다. 돌을 마주한 석공이 그것과 대결을 벌이며 자신의 의지를 관철하는 것이 아니라 돌과 대화하면서 원래 생긴 그대로의 모습을 존중하여 최소한의 개입만 하는 것이다. 물질에 대한 탁월한 통찰이며, 자연에 대한 지혜로운 겸허함이 아닐 수 없다.

장성재는 우리의 석공들이 돌을 마주할 때 가졌던 이러한 태도를 계승하고 있는 작가다. 그가 작업하는 모습이 그의 작가적 태도를 가감 없이 솔직하게 보여준다. 그는 충남 보령에서 나는 오석을 사용한다. 오석은 화강암 중에서도 철분 함량이 많기 때문에 돌에서 쇳소리가 난다. 이렇게 완강한 돌을 떡 주무르듯 하면서 부드럽고 유연한 형태를 만들어낸다. 장성재는 큰 덩어리의 암석에서 돌이 떨어져 나간 흔적들이 남기고 있는 오목면과 그 오목면들이 만나 경계를 이루면서 만드는 선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완성된 작품으로서 한 개의 돌덩어리는 여러 개의 파편들이 비늘 벗듯이 떨어져 나가고 난 후에 남아 있는 속살이다. 그래서 물결치는 오목면들과 이들이 빚어내는 예리한 선이 돌이 가진 육중한 중량감을 제거하고 경쾌한 물결무늬와 빛나는 표면을 남긴다. 장성재의 조각은 이러한 형태를 취하게 된 근원, 또는 모델, 시원을 가지고 있다. 그것은 바로 기원전 1만년 가량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신석기시대의 석조유물이다. 장성재는 어느 날 우연히 목도하게 된 신석기의 돌칼을 보고 그 속에서 자기 예술의 키워드를 발견했다. 그 돌칼을 갈았던 인류의 조상처럼 장성재는 온갖 잡스런 이야기와 감정을 한켠으로 밀어둔 채 묵묵히 돌을 쪼고 갈아내는 과정 자체에서 해답을 얻으려 했다.

형상(형식)은 내용을 전달하는 수단에 그치는 것이 아니다. 그 자체가 이미 내용이고 목적이다. 왜 조각을 언어적 구조로 이해하려 하는가? 왜 조각을 가지고 철학을 하려하는가? 왜 예술을 가지고 정치나 장사를 하려 하는가? 장성재는 말없는 돌을 통해서 역사와 담론을 뛰어넘는, 존재 그 자체를 만나고 싶었는지도 모른다. 그가 작품 제목을 래프팅(급류타기)이라고 명명한 것도 물살이 거셀수록 자신을 흐름에 맡겨야 전복되지 않고 강을 흘러 내려갈 수 있듯이 조각에서도 그러한 내맡김, 힘을 거스르지 않는 자연스러움을 지향하기 때문일 것이다. 이러한 자연스러움, 솔직하고 편안함은 한 점 흐트러짐 없이 일관된 것이어서 장성재의 예술, 장성재의 생활을 떠받치는 기본 조건이 되어 있다.

It took approximately 200 million years of geological time for granite to form, beginning between the Jurassic and Cretaceous of the Mesozoic. In the era when giant dinosaurs ruled the earth, a huge crustal change occurred in the ground, and at this time, the magma pushed near the surface by the pressure slowly cooled and turned into stone. The stone itself is the history of the earth that transcends the history of mankind, and is a visible substance that compresses the long years. Perhaps that's why stones are so blunt about human joys and sorrows and miscellaneous events. In terms of 200 million years of time, and further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universe, all the stories of human beings will be only a fleeting struggle, and the mass of their lives will not be heavier than the lives of mere creatures. Still, the silent stone speaks. Among these stones, granite, the hardest of all, is especially distributed in the Korean Peninsula, so we have been familiar with granite since ancient times, and naturally it became the background to have our own unique stone culture. From Seokguram Grotto to Kimchidol… The greatest characteristic of our stone culture is that it is the naturalness and respect for materials that come from this intimacy. Whenever I see these stone objects scattered around our mountains and streams, I feel the simplicity of the formativeness. This characteristic is that the beauty and naturalness of the material itself is utilized to minimize artificial technique and formative will. The stonemason facing the stone does not fight against it and carry out his own will, but rather takes the minimal intervention while conversing with the stone, respecting the original appearance.

It is an excellent insight into material things, and it cannot be less than a wise humbleness about nature. Sungjae Jang is an artist who inherits this attitude that our stonemasons had when facing stones. The way he works shows his author's attitude candidly. He uses five stones from Boryeong, Chungcheongnam-do. Oseok has a high iron content among granites, so the stone makes a rusty sound. It creates a soft and flexible shape while kneading a stubborn stone like this. Sungjae Jang is interested in the concave faces left by the traces of stones falling out of a large mass of rock and the line that the concave faces meet to form a boundary.

As a finished work, a single block of stone is the flesh that remains after several fragments have fallen off like scales. Therefore, the wavy concave surfaces and the sharp lines they create remove the heavy weight of the stone and leave a light wave pattern and a shiny surface. Jang Sung-jae's sculptures have the origin, or model, origin that came to take this form. It is a stone relic of the Neolithic Age, dating back to about 10,000 BC. Jang Seong-jae saw the stone sword of Shin Seok-gi, which he happened to see one day, and found the keyword of his art in it. Like the ancestors of mankind who sharpened the stone knife, Jang Seong-jae tried to find an answer in the process of pecking and grinding stones silently, pushing all kinds of miscellaneous stories and emotions to one side. Form (form) is not just a means of conveying content. It is already a content and a purpose in itself. Why try to understand sculpture as a linguistic structure? Why do you want to do philosophy with sculpture? Why do you want to do politics or business with art? Jang Seong-jae may have wanted to meet the existence itself, which transcends history and discourse, through the silent stone. The reason he named his work rafting (rafting) is probably because the stronger the current, the more you have to leave yourself to the current to flow down the river without overturning. Such naturalness, honesty, and comfort are consistent without a single point of disruption, and are the basic conditions that support Jang Sung-jae's art and life.